광양시 ‘스마트도시계획’ 국토교통부 승인

도시문제 해결 및 스마트도시 구현 위한 중장기 로드맵 마련
오덕환 기자 2025-07-08 14:15:12
광양시는 교육, 교통, 재난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립한 ‘광양시 스마트도시계획’이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광양시청사 전경. 사진=광양시

광양시는 교육, 교통, 재난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립한 ‘광양시 스마트도시계획’이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스마트도시’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가상현실(VR)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도시를 의미하며, 이러한 기술이 도시 인프라와 결합돼 융·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에 승인을 받은 광양시 스마트도시계획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의 중장기 로드맵으로, 2023년까지 5년 동안 추진된 기존 스마트도시계획을 한층 더 구체화하고 실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광양시는 이번 계획에 따라 AI스마트아이키움 플랫폼을 연내 확대 구축해 교육권 보장과 디지털 격차 해소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최근 정식 운영을 시작한 ‘MY광양’ 앱을 기반으로 AI 민원 챗봇 도입, 스마트공원 조성, CCTV 지능형 관제 시스템 도입 등 15개 세부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은미 광양시 디지털정보과장은 “이번 스마트도시계획 승인을 통해 우리 시 스마트도시의 비전과 중장기 계획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각 부처의 스마트도시 구축 지원 공모사업 응모에도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시민들의 생활 전반에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한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이 행복한 스마트도시 광양을 조성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관세 만큼 고물가에 고생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한국에 25%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적시한 '관세 서한'을 보내 이를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