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함 도면 대만에 유출' 누리꾼들 "처벌 강화해라"

[댓글여론] 온라인 감성반응 화나요 65%
김동욱 기자 2024-01-05 17:22:53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이 개발한 잠수함의 설계 도면이 대만에 유출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비판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사실상 솜방망이 처벌이 범죄 재발을 부추기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사진=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이 개발한 잠수함의 설계 도면이 대만에 유출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민 공분을 사고 있다. 온라인에서 누리꾼들은 사실상 매국행위와 다름없다며 무기징역이나 사형에 준하는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고 있다.

5일 경찰에 따르면 경남경찰청은 전직 대우조선해양 직원 A씨 등 2명을 내부 기술을 유출한 혐의(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로 불구속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A씨 등은 대우조선해양 재직 당시 잠수함 설계 도면을 빼돌린 뒤 잠수함 개발 컨설팅 회사인 B사로 이직했다. 경찰은 이후 이들이 도면을 대만 측에 넘긴 것으로 보고 있다.

대만에 유출된 잠수함 설계 도면은 대우조선해양이 2011년 인도네시아로부터 11억 달러(약 1조4천393억원)에 3척을 수주한 'DSME1400' 모델이다. 
이 잠수함은 2019년 인도네시아에 인도됐다.

한화오션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국가핵심기술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재발 방지를 위해 국가 정보기관과 공조 및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 "기술 유출 사건과 관련해서는 과거 대우조선해양 시절을 포함해 범죄 관련자들에게 단호하고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픽=BBD랩


빅터뉴스가 1월 3일부터 5일 낮 12시까지 '대만'과 '잠수함', '설계', '유출'을 키워드로 관련기사를 집계한 결과 포털 네이버와 다음, 네이트를 기준으로 기사는 모두 82개, 댓글은 2703개, 반응은 6180개로 집계됐다. 감성별로 다음의 '화나요(4019개, 65.03%)', 네이버의 '쏠쏠정보(851개, 13.77%), 후속강추(652개, 10.55%) 등의 순이었다.

포털 네이버에서 댓글이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한국경제 1월 3일자 <[단독] '잠수함 도면' 대만에 통째 유출…회사도 몰랐다>로 댓글 1013개와 반응 852개가 달렸다.(순공감순)

사형 외에는 없다(공감 2454)
우리나라도 저런자는 무기징역시키도록 법개정을 좀해라(공감 1115)
매국노(공감 369)
미국은 건당 징역 10년 이란다. 2000쪽이면 징역 2만년 아니냐?(공감 181)
이런거는 국가반역죄로 다스려 자자손손 취업도 못하게고 사업도 못하고 대한민국에서 사는게 골병들게 법을 만들어야 그런짓을 하는 사람이 없어진다(공감 100)

다음으로 연합뉴스 1월 4일자 <대만에 넘어간 대우조선 잠수함 설계 도면…사측 "책임 물을 것"(종합)>에는 댓글 457개와 반응 288개가 달렸다.(순공감순)

저런 놈들은 강력하게 처벌해야 한다 사형또는 무기징역으로 처벌해라(공감 759)
기밀 빼 타국에 넘긴놈은 매국행위로 무기징역에 처해야한다(공감 314)
군사 무기 기술을 통째로 대만이 빼갔네. 잠수함 무기 기술을 빼간 거면 적국이지. 잠수함 만들수 있는 나라가 많지 않아(공감 214)
여적죄로 다스려야 한다(공감 125)
이완용과 같은 짓이예요(공감 103)

포털 다음의 댓글 정책 변경(타임톡 시행)에 따라 다음에 올라온 기사 댓글은 수집하지 않았다. 다음 1위 감성인 감성표현 '화나요'가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한국경제 1월 3일자 <[단독] '잠수함 도면' 대만에 통째 유출…회사도 몰랐다>로 전체 반응 2405개중 '화나요'가 2349개에 달했다.

수집된 기사중 댓글을 최신순으로 노출한 기사는 순위에서 제외했다.   

※ 마이닝 솔루션 : BBD랩
※ 조사 기간 : 2024년 1월 3~5일 낮 12시
※ 수집 데이터 : 8965개(네이버, 다음, 네이트 기사와 댓글, 반응)
※ 분석 : 빅터뉴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코인과세 폐지하라"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과세 도입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당초 2022년 1월 도입 예정이었던 가상자산 과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