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당이라고 해라"
2025-04-18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7일 2분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물가와 환율, 가계대출 등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온라인에선 금리인상 시기를 놓치면서 쓸 카드가 없어졌다는 누리꾼들의 비판이 많았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0.25%p 낮췄고, 올해 1월 동결을 거쳐 2월 기준금리를 0.25%p 더 내린 바 있다. 하지만 계엄 사태 이후 환율이 요동치면서 추가 이하에 부담이 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어 "갑자기 어두운 터널로 들어온 느낌"이라며 "스피드를 조절하면서 밝아질 때까지 기다리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불확실성이 전례 없이 커졌다"며 "미국 관세 정책 강도와 주요국 대응이 급격히 변하고 있는 만큼 전망의 기본 시나리오조차 설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향후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진단했다.

빅터뉴스가 4월 17일 오후 2시까지 '기준금리'와 '동결' 키워드로 관련기사를 집계한 결과 포털 네이버와 다음을 기준으로 관련 기사는 모두 648개, 댓글 936개, 반응 719개로 집계됐다. 온라인 감성별로 다음의 '화나요(179개, 24.90%)', 네이버의 '공감백배(118개, 16.41%)' 등의 순이었다.
네이버에셔 댓글이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연합뉴스 4월 17일자 <美관세 충격에도 금리 동결…환율·가계대출 등 인하 '발목'(종합)>으로 댓글 68개, 반응 6개가 달렸다(순공감순).
한국은 구조적 문제로 성장률이 다운되는거라 돈만 푸는게 해결책이 아님. 금리는 올리고 구조조정하면서 힘든 시간을 거쳐야 함(공감 109)
기술로 먹고 사는 나라에서 부동산 땅놀음이나 하고 있으니 이 꼴이지(공감 62)
물가는 신경 안 쓰냐? 오히려 금리인상하고 부동산 가격 잡았어야했다(공감 35)
그럼 더내리냐 환율 나락가게?? 올려야할 판(공감 28)
미친 물가에 버블 부동산에 금리 동결에 대한민국은 미래가 없구나(공감 23)
다음으로 MBC 4월 17일자 <한국은행, 미국 '관세 충격'에도 기준금리 연 2.75%로 동결>에는 댓글 270개, 반응 18개가 달렸다(순공감순).
부동산 하락하는거 방패가 되어주는한은. 역적집단이다. 금리 빨리 올려라(공감 104)
그러게 미국 올릴때 맞췄어야지 뭔깡으로 국내 부동산 부양하겠다며 미국과 역대급 역금리차 만들어 2년동안 환율을 1400원 이상으로 수입물가 폭등 국내물가 폭등(공감 59)
가진 카드가 없다는것.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함(공감 24)
묶인돈이 시장에 나와야하는데…한은이 막고있네(공감 10)
진짜 저것들 때문에 서민만 죽어난다(공감 2)
수집된 기사중 댓글을 최신순으로 노출한 기사는 순위에서 제외했다.
포털 다음의 댓글 정책 변경(타임톡 시행)에 따라 다음에 올라온 기사 댓글은 수집하지 않았다. 다음 1위 감성 '화나요'가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머니S 4월 17일자 <기준금리 동결… '푸른색 넥타이' 이창용, 금리인하 소수의견 쏠린 눈(종합)>으로 전체 감성 32개중 24개였다.
※ 마이닝 솔루션 : BBD랩
※ 조사 기간 : 2025년 4월 17일 오후 2시까지
※ 수집 데이터 : 2303개(네이버, 다음, 네이트 기사와 댓글, 반응)
※ 분석 : 빅터뉴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