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으로 밀면 다 된다는 전례 돼서는 안돼"
2025-07-15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특검팀'의 소환 요구에 불응하며 버티기에 돌입하면서 비판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온라인에선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 없이 다른 수감자와 똑같은 대우를 해야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15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강제 구인에 나선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을 이날 오후 2시까지 조사실로 데려오라는 인치 지휘를 전날 서울구치소에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만약 윤 전 대통령이 이번에도 거부할 경우 특검팀이 직접 구치소에 방문해 조사에 나설 가능성도 있지만 성사 가능성은 불투명하다.특검팀은 전날 서울구치소에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을 지시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면서 결국 소환이 무산됐다. 특검팀은 "전직 대통령인 점 등을 고려할 때 강제적 물리력을 동원하기는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이번에도 소환을 거부할 경우 특검팀이 추가 조사 없이 윤 전 대통령을 구속기소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검찰은 2018년 110억원대 뇌물수수 등 혐의로 구속된 이명박 전 대통령이 구치소 방문 조사를 거부하자 결국 대면조사 없이 재판에 넘긴 바 있다.
한편, 특검팀은 '북한 무인기 의혹'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실시된 드론작전사령부 등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에는 일반 이적과 직권남용 혐의 등이 죄명으로,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이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빅터뉴스가 7월 14일부터 15일 오전 11시까지 '윤석열'과 '강제구인', '무산' 키워드로 관련기사를 집계한 결과 포털 네이버와 다음을 기준으로 관련 기사는 모두 187개, 댓글 1만758개, 반응 1만4970개로 집계됐다. 온라인 감성별로 다음의 '화나요(1만52개, 67.15%)', 네이버의 '후속강추(1849개, 12.35%)' 등의 순이었다.
네이버에서 댓글이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한겨레 7월 14일자 <구치소에서 버티는 윤석열…특검, 오후 2시 강제구인 재시도>로 댓글 2047개, 반응 640개가 달렸다(순공감순).
예우는 무슨 예우 .. 국민을 잡아 죽이려고 한 놈을 뭔 예우(공감 349)
끌고 나와라 예우하지말고(공감 273)
일반 피의자와 똑같이 대하라(공감 189)
기가 막힌다. 저 인간이 한 나라의 대통이었단다(공감 115)
전직 대통령 좋아하네 ... 저놈은 나라를 거덜낸 내란수괴에 불과하다(공감 63)
다음으로 연합뉴스 7월 14일자 <내란특검, 尹 강제구인 불발…"15일 오후 2시 나오라 재지휘">에는 댓글 1268개, 반응 222개가 달렸다(순공감순).
내일도 안나오면 구치소장을 바꿔야된다(공감 871)
조사안받고싶으면 걍 개기면되는거였구나(공감 362)
진짜 안나온다고 버티면 히터틀어버려. 그래도 안나옴 일반동실로 옮겨라(공감 294)
검찰총장에 대통령 까지 한 사람이... 처음 영장집행 할 때 숨어서 안나오질 않나, 밑에 사람들에게 총 보여줘서 겁주라고 하질 않나..이제는 하다하다 감방에서도 안 나오네 ㅋㅋㅋㅋ 추하다(공감 95)
다음으로 부산일보 7월 14일자 <내란특검, 尹 강제구인 불발…"15일 오후 2시 나오라 재지휘">에는 댓글 597개, 반응 161개가 달렸다(순공감순).
구치소 소장 올해 박성재가(윤)임명한 사람임(공감 454)
저딴게 독재해서 아침마다 윤비어천가 부르지않게해준 대재명과 대한국민들 감사합니다(공감 257)
다른 사람과 똑같이 대우해라(공감 174)
참 윤건희 부부한테만 모든게 법보다 관대하게 대우해주는게 이게 나라냐?형평성에 맞다고 생각하냐? 아직도 지가 대통령이냐?(공감 32)
강제로 끌어내라 일반범죄인들도 버티면 된다는 잘못된 인식 줄수 있다(공감 18)
수집된 기사중 댓글을 최신순으로 노출한 기사는 순위에서 제외했다.
포털 다음의 댓글 정책 변경(타임톡 시행)에 따라 다음에 올라온 기사 댓글은 수집하지 않았다. 다음 감성 1위 '화나요'가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아시아경제 7월 14일자 <내란특검 "尹, 수용실에서 나가기 거부…내일까지 데려오라 재차 지휘 예정">으로 전체 감성 3284개중 3201개였다.
※ 마이닝 솔루션 : BBD랩
※ 조사 기간 : 2025년 7월 14~15일 오전 11시까지
※ 수집 데이터 : 2만5915개(네이버, 다음, 네이트 기사와 댓글, 반응)
※ 분석 : 빅터뉴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