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다문화 결혼 건수가 7년 만에 증가한 가운데, 전체 출생아 20명 중 1명은 다문화 출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3일 밝힌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2017년 다문화 혼인은 2만 1917건으로 전년 대비 208건(1.0%) 증가했다. 다문화 혼인은 남녀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라도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를 말한다. 2010년(3만 5098건, 전체 혼인 건수의 10.8%) 이래 2016년(2만 1709건, 7.7%)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던 다문화 혼인은 2017년 근소하게 늘었다.
2017년 전체 혼인이 26만 4천 건으로 전년보다 6.1% 감소하는 동안 다문화 혼인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다.
다문화 유형별로는 외국인 아내가 65.0%로 가장 많았고, 외국인 남편(19.6%), 귀화자(15.4%) 순으로 많았다.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27.7%), 중국(25.0%), 태국(4.7%) 순이었다.
남편의 국적은 중국이 10.2%로 가장 많았고, 미국(6.4%), 베트남(2.7%) 순이었다.
다문화 혼인 남편 연령은 45세 이상이 26.4%로 가장 많고, 30대 후반(19.5%), 30대 초반(19.4%) 순이었다. 아내는 20대 후반이 27.7%로 가장 많고, 30대 초반(21.9%), 20대 초반(18.0%) 순으로 많았다.
지역별로 다문화 혼인 건수가 많은 곳은 경기(6092건), 서울(4711건), 경남(1292건) 순이었다.
다문화 혼인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10.6%), 전북(9.4%), 전남(9.3%) 순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세종(5.4%), 대전(6.0%), 대구(6.4%) 순이었다.
◆ 전체 출생 11.9% 감소하는 동안 다문화 출생은 5.1% 감소에 그쳐
한편, 2017년 다문화 출생아는 1만 8440명으로 전년(1만 9431명)보다 991명 감소했다. 하지만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의 비중은 5.2%로 전년보다 0.4% 증가했다.
2017년 전체 출생이 35만 8천 명으로 전년보다 11.9%나 감소한 데 비해, 다문화 출생아는 5.1% 감소에 그쳤기 때문이다.
지역별 다문화 출생아 수는 경기(4834명), 서울(3288명), 경남(1243명) 순으로 많았고, 다문화 출생 비중은 전남(7.5%), 전북(6.6%), 제주(6.4%) 순으로 높았다.
다문화 출생의 외국인 부(父)는 중국이 7.5%로 가장 많았고 미국(5.5%), 베트남(2.8%) 순이었다. 외국인 모(母)의 국적은 베트남(34.7%), 중국(22.0%), 필리핀(7.3%) 순이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