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양극화 심화…현대차·기아만 웃어

현대차·기아만 어닝서프라이즈, GM·르노·쌍용차는 연속 적자
차부품 중소기업들은 원자재값 고공비행에 금리인상 '이중고'
2022-04-27 13:11:48
자동차업계에서 현대차그룹 중심의 실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현대차·기아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GM·르노·쌍용차는 적자를 기록하고 납품업체들은 원자재값 급등, 금리인상 등 이중고에 시달리면서 생존위기에 몰렸다. 사진은 25일 서울 시내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매장. 

국내 자동차업계의 실적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현대차·기아가 역대급 호실적에 함박 웃음을 짓는 반면 경쟁사인 GM·르노·쌍용차는 연속 적자 행진이다. 납품 중소기업들도 울상이다. 중소기업들은 원자재값 상승, 금리인상 등 이중고에 시름하면서 수익성 악화에 비명을 지르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가격인상 요인이 납품단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납품단가 연동제 등 대책이 절실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이른 바 '납품가 후려치기' 등 갑질을 막기 위한 상시 조사 등 공정거래위원회의 적극적인 감시활동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차와 기아는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0조2986억원, 1조928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보다 각각 10.6%, 16.4% 증가한 수치로 2014년 2분기 이후 8년여만에 최대 실적이다. 1분기 글로벌 판매량(도매 기준)은 전년동기 대비 9.7% 감소했지만 제네시스와 스포츠유틸리티차 등 고가 차량 판매가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 아이오닉5 등 전기차 판매도 증가했다. 기아도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49.2% 증가한 1조6065억을 기록했다. 매출은 10.7% 늘어난 18조357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래 최대 규모다. 

특히 현대차의 영업이익률은 6.4%, 기아는 8.8%로 코로나와 반도체 수급난에도 오히려 전년대비 1% 가량 증가했다. 평균 5%대였던 코로나 사태 이전과 비교하면 수익성은 더욱 좋아진다.  마진율이 좋은 고가 차량 판매 증가와 더불어 최근 환율 상승과 차량 할인 축소 등이 배경으로 꼽힌다.

생산 차질 사태를 야기한 반도체 대란도 오히려 수익성에는 호재가 된 것으로 보인다. 신차 구하기가 별따기가 된 상황에서 현대차와 기아는 신차 뿐만 아니라 일반 연식 변경 모델의 가격을 꾸준히 올렸다. 실제 한 번에 차값이 수백만원 뛴 모델이 수두룩하다. 

반면, 나머지 완성차 3사는 적자를 면치 못했다. 한국GM은 지난해 3760억원, 르노코리아차는 80억6000만원, 쌍용차는 261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그나마 르노코리아가 적자폭을 대폭 줄였다.

국내 납품 중소기업들도 경영난에 시름을 앓고 있다. 날만 새면 오르는 원자재값에 금리인상으로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다수 납품업체 입장에서 이번에 현대차와 기아가 달성한 영업이익율은 현실적으로 올리기 상당히 어려운 수치다. 디지털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 자동차 부품사 55곳(타이어 등 제외)의 지난해 영업이익률 평균은 3.4% 수준이다. 현대자동차·기아의 수익성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55곳 중 현대차보다 영업이익률이 높은 부품사는 단 5곳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적자를 내거나 수익성이 악화됐다. 대표적으로 현대차·기아 비중이 60%를 넘는 핸즈코퍼레이션은 2020년 52억 적자에서 지난해 501억원으로 적자폭이 확대됐다.

이들 중소기업들은 원가인상 요인이 있어도 납품단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중소기업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한 기자회견'에서 "우리 경제는 0.3%의 대기업이 전체 영업이익의 57%를 가져가고 99%의 중소기업이 25%를 가져가는 상황"이라며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납품단가 현실화"라고 강조했다. 중소기업들은 윤석열 정부에 납품단가연동제 도입과 대통령 직속 상생위원회 설치를 촉구하고 있다.

이른 바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최근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자신들의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 납품업체에 낮은 납품단가를 압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이야기가 많아지고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의 상시 감시와 조사를 강화하고 적발되면 적극 처벌해야한다"고 말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코인과세 폐지하라"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과세 도입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당초 2022년 1월 도입 예정이었던 가상자산 과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