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영광에 원자력발전소가 6기나 가동되고 있는데도 원전 사고 발생 시 지휘 본부 역할을 하는 광역방사능방재센터를 전북 부안군에 빼앗긴 것과 관련해 도의회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10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한빛원전 특별위원회(위원장 장은영)는 지난 7일 제 2차 회의를 열어 도민안전실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주요 현안에 대해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장은영 위원장은 “한빛원전이 영광에 소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빛권 광역방재센터가 전북 부안으로 확정됐다”면서 “한빛원전에서 30㎞ 경계인 함평이나 장성으로 유치할 기회를 전남도 스스로 포기해 한빛원전 현안에 대한 대응 의지가 있는지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모정환 의원(함평)도 전남이 탈락하고 원전이 없는 전북도가 유치하게 된 경위를 따졌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지난해 5월 광역방재센터 대상지로 부안군을 선정했다.
현재 센터는 한빛원전 인근 영광군 군서면에 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이 원전 반경 30㎞까지 확대됐는데, 현재 센터가 원전과 너무 가까워 사고 발생 시 제 역할을 하기 힘들다는 지적에 센터를 새로 건립하기로 하고 후보지 공모에 나섰다.
당시 부안군과 함평군이 신청했는데, 부지로 사유지를 제시한 함평군이 아닌 군유지를 제시한 부안군이 선정됐다.
부안 한빛권 광역방재센터 건립에는 총사업비 100억원이 투입되며, 행정절차를 거쳐 2025년 12월 준공할 예정이다.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수습과 대응, 지휘 기능이 현재 센터에서 광역방재센터로 옮겨지게 된다.
이 때문에 전남도의회는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사고 발생에 대비한 방재센터를 원전이 없는 전북이 유치한 것을 두고 전남도가 안일하게 대응한 게 아니냐고 질타한 것이다.
답변에 나선 김신남 도민안전실장은 “당시 전남도는 함평 사유지를 방사능방재센터 부지로 정해 유치신청을 했고, 전라북도는 부안군 군유지를 후보지로 해 신청했다”고 답했다.
이날 회의는 한빛원전 안전대책 등 원전 관련 업무 전반에 대한 보고와 사용 후 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에 따른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장은영 위원장은 “건식저장시설 건설 추진 과정에서 원전 소재 지역주민의 의견은 철저히 무시되고 있다”면서 “원전 운영에 대한 모든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하며, 의사결정과정에서 반드시 도민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전 안전 등 사회재난 업무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지만, 담당 부서장의 잦은 교체로 인해 업무의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다”며 “지속적이고 심도 있는 업무 추진을 위해 담당과장을 개방형 전문직위로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제안했다.
장 위원장은 “원전 관련 정책은 국가 사무이지만, 200만 전남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전남도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며 “건식저장시설 건설에 대해 도민과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해, 정부에 건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빛원전 특별위원회는 장은영(비례), 모정환(함평), 김문수(신안1), 조옥현(목포2), 박문옥(목포3), 나광국(무안2), 정길수(무안1), 최정훈(목포4), 정철(장성1), 박원종(영광1) 의원 등 10인으로 구성돼 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