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재계 화두로 떠오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 환경, 특히 기후변화와 탄소배출 대응이 중시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선 SK가 ESG 경영을 가장 잘한 기업으로 평가받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국내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을 대상으로 전 세계 ESG 확산 추세가 국내 산업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ESG 중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지표를 묻는 말에 가장 많은 60.0%가 환경(E)을 꼽았다. 사회(S)와 지배구조(G)를 택한 비율은 각각 26.7%, 13.3이었다. 세부적으로는 기후변화나 탄소배출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26.7%로 가장 많았다. 지배구조(17.8%), 인적자원관리(13.3%), 기업행동(11.1%), 청정기술·재생에너지(11.1%)가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이후 확산한 글로벌 친환경 트렌드가 반영됐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ESG 확산으로 투자 유치와 수출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은 석유제품(28.9%)과 석유화학(26.7%), 철강(26.7%)이었다. 가장 전망이 밝은 산업은 가장 많은 28.9%가 반도체를 꼽았다. 이어 이차전지(26.7%), 자동차(11.1%), 바이오(11.1%) 등의 순이었다. 자동차는 ESG 확산에 따른 긍정·부정적 전망이 동시에 제시됐는데 이는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공동 생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내기업의 ESG 대응 수준을 묻는 말에는 선진국을 10점으로 했을 때 대기업 7점, 중견기업 5점, 중소기업 4점 순으로 답이 나왔다. ESG 대응을 잘하는 해외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와 애플, 파타고니아가 꼽혔다. 국내기업에선 SK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LG화학[051910], 삼성전자[005930], KB금융[105560] 순이었다.
해외의 경우 ESG 우수기업 중 정보기술(IT)·테크기업의 비중이 높았지만, 국내는 철강, 정유를 포함해 다양한 산업이 포함됐다. 국내기업이 ESG 확산 추세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개선할 과제로는 가장 많은 40.0%가 '평가기준 일관성 확보 및 투명한 평가체계 수립'을 택했다. 'ESG 경영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33.3%), '세계 기준에 준하는 한국형 ESG 평가지표 개발'(26.7%)이라는 답도 나왔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