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가 1000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여파와 부동산과 주식 등 투자 열풍이 지속되면서 대출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금리상승은 각 가계의 이자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이제 막 회복 기미가 보이고 있는 우리 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03조1000억원으로 1월 말(996조4000억원)보다 6조7000억원 증가했다. 2월 증가 폭으로는 작년 2월(9조3000억원)에 이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4년 이후 두 번째로 크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33조3000억원)도 한 달 사이 6조4000억원이나 급증했다. 매년 2월 기준으로 작년(7조8000억원)에 이어 통계 작성 이래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전세자금 대출 증가 폭도 한 달 새 2조4000억원에서 3조4000억원으로 1조원 커졌다.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잔액 268조9000억원)도 증가 속도가 둔화되기는 했지만 1월말보다 3000억원 늘어났다.
이사첫을 맞아 전셋대출 수요가 급증하고 대출을 받아 부동산과 주식 등 투자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금리인상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국내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 국채 금리의 경우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8일(현지시간)에는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0.04%포인트 상승한 연 1.598%로 기록하며 약 1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미 지난달 25일 기준 4대은행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으로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 대비 하단이 0.6%포인트나 높아졌다. 같은기간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도 최저 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대출 금리 인상은 가계의 이자부담 증가로 이어진다. 코로나 사태로 빚으로 연명하는 가계가 많은 상황에서 이자부담 증가로 연체율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다. 특히 막대한 대출금이 들어간 증시와 부동산 시장까지 향후 흔들릴 경우 가계를 넘어 국가 경제에 상당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