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N

수사심의위 앞둔 이재용,  누리꾼 긍정감성 우세 “경제가 이꼬라지인데... ”

수사심의위 앞둔 이재용, 누리꾼 긍정감성 우세 “경제가 이꼬라지인데... ”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누리꾼들의 인식은 매우 우호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빅터뉴스가 최근 1년(2019.6.1 ~ 2020.6.23)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뉴스와 댓글 57만5788여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부회장에 대해 호재성 이슈에는 긍정감성 반응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악재성 이슈에는 부정감성 반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최근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이슈의 경우 8일
2020-06-24 18:33:42
[리서치N] 文대통령 지지율 4.8%p 하락, ‘잘한다’ 53.4% vs ‘잘못한다’ 41.8%

[리서치N] 文대통령 지지율 4.8%p 하락, ‘잘한다’ 53.4% vs ‘잘못한다’ 41.8%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53.4%로 지난 3월 4주차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2,5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문재인 대통령의 6월 3주차 국정수행 긍정평가 지지율을 전주 대비 4.8%p(포인트) 내린 53.4%로 22일 발표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4.8%p 오른 4
2020-06-23 07:26:25
[디스LAW] 최승재의원 발의 소상공인복지법안, 여야 의원 51명 공동 발의에 참여

[디스LAW] 최승재의원 발의 소상공인복지법안, 여야 의원 51명 공동 발의에 참여

21대 국회는 지난 15일 18개 상임위원회 중 법제사법위원, 기획재정위원회, 외교통상위원회, 국방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등 6개 상임위를 구성했다. 이날 미래통합당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항의 표시로 본회의 표결에 불참한 가운데 나머지 정당 소속의 의원들이 표결을 강행해 6개 상임위원장을 선출하며 구성을 마쳤다. 민주당은 남은 12개
2020-06-18 22:20:25
[리서치N] 문 대통령 국정 지지율 2주 연속 하락, ‘잘한다’60% vs ‘잘못한다’32%

[리서치N] 문 대통령 국정 지지율 2주 연속 하락, ‘잘한다’60% vs ‘잘못한다’32%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2주 연속 떨어져 60%를 기록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율 역시 2주 연속 떨어졌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은 지난 9~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나?' 물은 결과, 60%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12일 밝혔다. 부정평가 응답자는 32%로 나타났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2020-06-15 07:20:15
민주당 전당대회 빅데이터 판세, 이낙연 압도적 1위...

민주당 전당대회 빅데이터 판세, 이낙연 압도적 1위...

8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대표 선출 이슈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177석의 거대여당이 된 당의 대표를 뽑는 자리이자,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이낙연 의원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의사를 밝히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당내에서는 이낙연 의원의 전대 출마를 두고 대권-당권을 모두 ‘독식’하려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낙연
2020-06-12 16:48:00
'비빔면스타' 전국시대,  진비빔면 > 팔도비빔면 > 불닭비빔면 > 칼빔면

'비빔면스타' 전국시대, 진비빔면 > 팔도비빔면 > 불닭비빔면 > 칼빔면

오뚜기 진비빔면이 견고하던 비빔면 시장을 흔들고 있다. 84년 팔도비빔면이 출시된 이후 팔도비빔면은 30여년간 우리나라 국민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비빔면의 대명사로 자리잡았고, 경쟁상품의 시장진입을 불허했다. 비빔면의 성수기를 앞둔 지난 3월과 4월 경쟁사들은 앞다퉈 비빔면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3월 23일 오뚜기에서는 ‘진비빔면’을 출시했고, 연이어 삼
2020-06-09 17:15:50
방탄소년단 압도한 임영웅, “영웅의 선택이 제품 선택의 기준”

방탄소년단 압도한 임영웅, “영웅의 선택이 제품 선택의 기준”

트로트 가수 임영웅의 인기가 신드롬에 가깝다. 4월 이후 미스터트롯 최종 우승자인 임영웅의 네이버 검색량과 인스타그램 언급량(게시물수)은 방탄소년단을 넘어섰다. 유통업계에서는 ‘임영웅 효과’에 편승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임영웅이 모델을 한 브랜드들의 인스타그램 게시물은 일제히 증가했다.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1월 1일부터 6월 7일
2020-06-08 18:24:58
불매운동 온라인 이슈, '여혐' 기업 낙인으로 오리온 언급량 급증

불매운동 온라인 이슈, '여혐' 기업 낙인으로 오리온 언급량 급증

오리온 ‘불매’ 이슈가 급확산되며 SNS를 달궜다. SNS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펄스케이로 5월 한 달간(2020.5.1 ~ 2020.5.31) 트위터·인스타그램·커뮤니티·블로그 등 SNS에서 불매운동과 관련된 게시물을 수집한 결과 6만4240건의 게시물이 수집됐다. 이중 ▲오리온은 1만3009건에 언급되며 전체 게시물에서 가장 많은 20.3%를 점유했다. 이어 ▲남양이 4654건에서 언급
2020-06-05 14:30:05
'제네시스 GV80' 엔진 결함 논란에 조롱 쏟아져... “저 정도면 경운기 수준”

'제네시스 GV80' 엔진 결함 논란에 조롱 쏟아져... “저 정도면 경운기 수준”

현대차의 플래그십 SUV GV80 결함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출시 직후에는 D(주행) 상태에서의 후진과 배터리 방전 논란이 불거졌고, 최근에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엔진 떨림’ 결함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제네시스 SUV 모델인 GV80은 출시 전부터 높은 관심을 모았고, 지난 1월 출시된 이후 예약이 몰리며 최대 3~6개월 대기해야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
2020-06-03 21:18:01
불매운동은 진행중, SNS 언급량 급감한 일본 브랜드 유니클로-아사히-무인양품...

불매운동은 진행중, SNS 언급량 급감한 일본 브랜드 유니클로-아사히-무인양품...

일본 불매운동이 10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일본 재무성의 2020년 4월 무역통계(잠정치)에 따르면 한국 수출액이 4122억엔으로 전년대비 10.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카테고리별로는 한국 소비자들의 일본 불매운동 직격탄을 맞은 식료품·자동차 등에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항목별로는 올해 4월 맥주를 포함한 식료품의 한국 수출액은 약 21.4억엔으로 전년대비 54.2% 감
2020-05-25 15:07:55
'코로나 스트레스' 해소엔 매운맛? 불닭소스·스리라차소스·라조장 언급량 급증

'코로나 스트레스' 해소엔 매운맛? 불닭소스·스리라차소스·라조장 언급량 급증

코로나19가 한국인의 입맛을 바꾸어 놓았다. 네이버 데이터랩 쇼핑인사이트에 따르면 코로나19의 확산세가 한창이던 3월과 4월 가공식품 중 소스류의 검색량이 이전 대비 70%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운맛을 내는 테이블 소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식·외출 감소의 반사효과로 보여진다. 이번 조사에서 소스류
2020-05-22 14:53:19
초개인화 표방한 '롯데온',  누리꾼 불만은 접속불량> 등급삭제> 주문내역 삭제> 검색불량> 인터페이스 순

초개인화 표방한 '롯데온', 누리꾼 불만은 접속불량> 등급삭제> 주문내역 삭제> 검색불량> 인터페이스 순

지난 28일 롯데쇼핑이 야심차게 온라인 쇼핑 플랫폼 ‘롯데온’을 론칭했다. 롯데온은 그룹 내 롯데백화점·롯데마트·롭스·롯데프레시·롯데면세점·롯데홈쇼핑·롯데하이마트 등 7개 유통 계열사를 통합한 쇼핑몰이다. 롯데온은 고객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넷플릭스 처럼 ‘초(超)개인화’ 서비스를 도입했고, 전국 1만5천여개의 오프라
2020-05-19 16:44:37
[리서치N]  차기 대통령 선호도 1위 이낙연, 지지자 없다 40%

[리서치N] 차기 대통령 선호도 1위 이낙연, 지지자 없다 40%

한국갤럽이 15일 발표한 차기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낙연 전 국무총리(28%)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번 조사는 후보명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응답 형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이낙연 전 국무총리(28%), 이재명 경기도지사(1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3%),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2%), 윤석열 검찰총장,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 박원순 서
2020-05-16 08:04:41
인스타그램에서 '신라면' 독주... '진라면-너구리' 2위 경쟁 치열  ②

인스타그램에서 '신라면' 독주... '진라면-너구리' 2위 경쟁 치열 ②

인스타그램에서는 신라면의 인기 독주 속에 진라면과 너구리가 2위 그룹을, 안성탕면·왕뚜껑·삼양라면·육개장이 3위 그룹을 형성했다. 최근 4년(2016.4.1 ~ 2020.4.30) 인스타그램에서 국물 라면 인기브랜드 10종이 언급된 게시물은 총 150만9천여건이 수집됐다. 광고성 게시물은 제외했다. 인스타그램은 사진을 중심으로 게시물을 올릴 수 있어 상품에 대한 후기성 게
2020-05-14 14:59:02
1년간 74개 먹는 라면, 일요일엔 '짜파게티'...여름철엔 ‘비빔면’ ①

1년간 74개 먹는 라면, 일요일엔 '짜파게티'...여름철엔 ‘비빔면’ ①

식품산업통계정보의 POS 소매점 매출정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라면시장은 2019년에 2조1181억원 규모를 기록했다. 소매점에서 판매하는 라면 낱개 가격을 550원으로 어림잡아도 38억개 이상 팔린 셈이고, 1년간 국민 일인당 평균 74개씩 소비했다는 것이다. 통계정보에 따르면 2018년 4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 4개 분기 동안 매출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팔린 라면은 신라면이었다. ▲
2020-05-13 21:42:29
5월 2주차 STI 순위, 코로나19> 이재용 대국민사과> 티맥스소프트> 긴급재난지원금...

5월 2주차 STI 순위, 코로나19> 이재용 대국민사과> 티맥스소프트> 긴급재난지원금...

5월 2주차(2020.5.4 ~ 2020.5.10) 인기 검색어로 본 최대 이슈는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과 관련해 ‘코로나19’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봄마루'는 5월 2주차 한주간 STI 순위를 발표했는데 ‘코로나19’ 관련 키워드들이 포털에 가장 장시간 노출되며 상위에 랭크됐다. STI지수는 해당 이슈와 연관된 키워드가 검색포털에 인기검색어로 노출된 시간을 분단
2020-05-12 19:23:49
[통계N] 구직급여 신규신청 12만9천명↑, 4월 1조원 지출

[통계N] 구직급여 신규신청 12만9천명↑, 4월 1조원 지출

4월 구직급여 신규신청자는 12만 9천명 증가하면서 전체 구직급여 수혜자(65만1천명)에게 1개월간 9,933억 원의 구직급여가 지급됐다. 지급 건수 1회당 수혜금액은 137만원이다. 지난 3월에는 8,982억 원이 지출됐다. 1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4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4월 고용보험 가입자수는 1,377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 3천명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2020-05-12 14:41:33
‘이태원 클럽 코로나' 신천지 집단감염 수준 위협, 성소수자 비판은 자제

‘이태원 클럽 코로나' 신천지 집단감염 수준 위협, 성소수자 비판은 자제

코로나19 이슈 분석결과 ‘이태원 클럽’으로 인해 누리꾼들의 관심은 3차 국면에 들어섰다. 1차(2020.1.20 ~ 2.17)는 지난 1월 국내에서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확진자가 꾸준히 증가하며 시민들의 공포심이 고조되기 시작한 때였다. 2차(2020.2.18 ~ 5.5)는 2월 18일 대구 신천지 교회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며 대구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확진자가 증가세를 보인 때였고, 3차는 5
2020-05-11 18:01:47
코로나19로 국물있는 ‘간편식’ 인스타그램 언급량 급상승

코로나19로 국물있는 ‘간편식’ 인스타그램 언급량 급상승

코로나19로 인해 가정용 간편식(HMR)의 인기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가정용 간편식 시장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해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POS 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매출규모 4610억원에서 3년만인 2018년에 두 배에 달하는 9026억원을 기록하며 매년 2~30%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렇게 가파르게 성장하던 가정용 간편식 시장은 코로나19의 확산세와 맞물려 더
2020-05-06 21:14:56
[통계N] 청소년 인구 40년 전의 60%, 40년 후에는 절반으로 감소

[통계N] 청소년 인구 40년 전의 60%, 40년 후에는 절반으로 감소

올해 청소년(9~24세) 인구는 854만2천 명으로 총 인구의 16.5%로 198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7일 발표된 통계청·여성가족부의 ‘2020년 청소년 통계(2020.4.27.)’에 따르면 1982년 1,420만 9천 명이었던 청소년 인구가 약 40년 후인 2020년에 6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향후 40년 후인 2060년에는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학령인구(6~21세)는
2020-04-28 22:5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