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공의 마일리지 정책을 두고 논란이 거세다. 소비자들은 개편이 아니라 '개악(改惡)'이라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정치권도 "대기업의 소비자 우롱행위"라며 직격했다. 아시아나항공 인수전때부터 제기됐던 '독과점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사실상 현실화됐다는 지적이다. '재벌특혜'라는 비판속에서도 무려 2조원대의 혈세를 투입해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에게 날개를 달아준 대가가 '소비자 뒤통수'라는 황당한 결론으로 끝나선 절대 안된다. 혈세를 투입한 정부는 대한항공에 대한 관리감독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번 개편에서 대한항공은 마일리지 공제 기준을 지역별에서 운항거리별로 바꾸고 마일리지 사용처를 숙박, 마트 등으로 확대했다. 일부 단거리 노선에 혜택이 커졌지만 노선이 길어질 수록 마일리지 사용 가치는 뚝 떨어진다는 점이 문제다. 가뜩이나 마일리지 좌석 부족으로 예약 자체가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 기준 자체가 높아지면서 소비자 반발은 더욱 거세다.
기업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는 마일리지 제도는 사실상 물건을 더 비싸게 팔고 할인쿠폰을 나눠주는 것과 다름없다. 비용이 모두 원가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럴거면 아예 마일리지 제도를 없애고 그만큼 가격을 낮추는게 소비자에겐 더 유리하다.
이번 사건은 한 기업의 마케팅 문제에서 끝나지 않는다. 대한항공이 국내 항공시장을 양분해온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면서 사실상 독과점적인 시장 지위를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통합 대한항공' 출범 이후 비슷한 사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는 아시아나 인수 당시 시민단체와 정치권에서 꾸준하게 제기됐다. 저비용항공사가 많지만 장거리 노선의 경우 사실상 대한항공의 경쟁자가 없는 상황이 형성될 경우 소비자 권리에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였다. 조원태 회장에게 유리한 ‘재벌특혜’라는 비판도 거셌다.
하지만 당시 이동걸 전 산업은행 회장은 ‘항공업 재편과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특혜’라며 혈세를 아낌없이 쏟아부었다. ‘책임분담 없는 혈세지원은 안된다’며 조 회장의 사재출연을 촉구하는 사회적 요구에도 조 회장의 침묵아래 혈세는 그대로 지원됐다.
그 결과 대성공이었다. 대한항공은 창공으로 거침없이 날아올랐다. 대한항공은 최근 2년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으며, 코로나의 그늘이 걷히면서 해외 여행 수요가 살아나면서 향후 실적 전망도 밝다. 시장 경쟁 심화와 한진해운 자금줄 역할을 하면서 곳간이 부실해지고 여기에 코로나 사태까지 덥치는 풍전등화의 위기에서 그야말로 대반전에 성공한 셈이다.
특히 조 회장은 최대 수혜자다. 부친에 이어 사령탑에 올랐지만 누나에게 경영권을 위협받을 정도로 자리보전이 위태로웠던 상황에서 현재 비행기 240여대를 거느린 세계 7위권 항공사 수장이자 한진그룹의 확실한 1인자로 자리매김했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왜 소비자들만 뒷전으로 밀린 것처럼 보이느냐다. 혈세를 지원받은 대한항공과 조 회장은 날개를 달았는데 정작 소비자들은 푸대접을 받는다는 데 동의할 국민이 얼마나 될 지는 미지수다.
국민의힘 성일종 정책위의장은 17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용 비율이 높은 단거리 노선에서 합리적 소비가 가능하게 했다는 대한항공 주장은 모순"이라며 "혈세로 고용유지지원금 등을 받고 국책은행을 통한 긴급 자금을 지원받은 것을 잊고 소비자를 우롱하면 되겠나"라고 반문했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국민 편익을 생각하기보다 고객들의 고혈을 짜내겠다는 대한항공의 오만한 자세에 기가 질린다"고 비판했다. 원희룡 장관도 “고객들이 애써 쌓은 마일리지의 가치를 대폭 삭감하겠다는 것”이라며 “대한항공이 역대급 실적을 내고도 고객은 뒷전인 것 같다”고 비판했다.
조 회장은 소비자와 정치권의 비판에 귀를 기울여야한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