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으로 통제 받는 게 당연"
2025-09-09

KT 소액결제 사건에 대한 소비자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SKT에 이어 KT까지 보안 사고가 터지면서 누리꾼들은 "더이상 갈 곳이 없다"며 정부의 강력한 대책과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9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KT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사이버 침해 사실을 신고했다. 정보통신망법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해킹 등 침해 사고가 발생한 것을 알게 된 때로부터 24시간 이내에 사고 발생 일시, 원인 및 피해 내용 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나 KISA에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신고를 접수한 KISA와 이 사건을 병합 수사 중인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날 KT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진행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앞서 8월 말부터 최근까지 주로 새벽 시간대 특정 지역의 KT 이용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모바일 상품권 구매 등이 이뤄지며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해를 봤다는 신고가 접수돼 경기남부경찰청이 사건을 병합해 수사 중이다. 피해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최초 경기 광명시·서울 금천구에 이어 경기도 부천에서도 모바일 상품권 73만원 충전 등 총 411만원이 빠져나갔다는 KT 이용자 신고 5건이 들어와 경찰이 수사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건이 결제 카드 정보 도난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피해자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본인 인증 앱 '패스'(PASS)와 카카오톡 계정까지 조작당한 정황이 포착되면서 복제폰, 중계기 해킹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단순한 소액결제 피해를 넘어 통신·인증 시스템 전반의 취약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도 파장이 커질 수밖에 없다.

빅터뉴스가 9월 8일부터 9일 오전 11시까지 '소액결제'와 'kt', '피해' 키워드 관련기사를 집계한 결과 포털 네이버와 다음을 기준으로 관련 기사는 모두 149개, 댓글 688개, 반응 1243개로 집계됐다. 온라인 감성별로 네이버의 '후속강추(602개, 48.43%)', 다음의 '화나요(384개, 30.89%)' 등의 순이었다.
네이버에서 댓글이 가장 많이 달린 기사는 SBS 9월 8일자 <"같은 동네라 봤는데" 깜짝…알뜰폰도 소리 없이 당했다>로 댓글 82개, 반응 105개가 달렸다(순공감순).
얘네들 sk털렷을때 뺏으려고 난리엿는데 어떻게 나올지 기대돠네(공감 262)
sk털렸다고 그 난리를 첬었는데 실제 돈까지 결제된 대규모 사고는 kt에서 터지네(공감 207)
진짜 전세사기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폰지사기 통신사기 등 서민의 피 같은 돈을 빨아먹는 사기범죄도 사형을 언도해라(공감 163)
주민번호는 이제 은행 보안카드같은걸로 바꾸고, 그래야함.. 무슨 한국인들 개인정보는 맨날 털리는건지?(공감 117)
며칠째 사고경위도 모르는 게 실화냐 뭘 숨기는 거냐(공감 104)
다음으로 YTN 9월 8일자 <'KT 소액결제 사건' 미스터리...경찰 "전례 없는 사건">에는 댓글 79개, 반응 45개가 달렸다(순공감순).
나 지금 떨고있냐?? KT인데(공감 92)
KT 데이터 센터가 털렸다고요. LG도 털렸고. 그게 개인정보랑 결제정보 다 들어있는데 이제서야 범행이 일어나는거라고.(공감 57)
휴대폰을 포렌식을 왜하나 .. 소액결제에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비암호화 구간에서 털린거고 소액결제 시스템 서버 로그를 봐야지 .. 결제시스템 프로세스 로그에 모든 힌트 다 있을 듯(공감 37)
이것이 skt 해킹사건이 터져도 가입자가 줄어들지 않는 이유. 도망칠 곳이 없음(공감 9)
일단 KT가 보상해야지머. 이게 SKT사태보다 더큰 해킹의 전조가 아니길 바란다.. 전자결재 다 해지하고 아날로그로 가야하나?(공감 6)
다음으로 JTBC 9월 9일자 <"폰 보고 있었는데" 몰래 'PASS 앱' 인증까지…'KT 소액결제' 피해 확산>에는 댓글 66개, 반응 89개가 달렸다(순공감순).
KT도 해킹당한것이 틀림없다. KT도 자수해라(공감 167)
정보유출이 아니면 이런 일 이 일어날수 없다. SKT정보 유출이 문제 됬지만 이후 유심교환 등으로 2차 피해는 막았다고 본다. 하나 이 후 밝혀진 사실이 KT와 U+도 정보 유출이 있었다는 기사가 나왔다. 그런데 이 들은 인정을 안하고 보사를 피함(공감 109)
왜 10만원이야 당분간 일괄 0원으로 축소해라. 다른 통신사도 마찬가지(공감 82)
방지할수 있는 방법을 먼저 알랴줘라(공감 34)
휴대폰 본인 인증 방식에 대한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무조건 안면인식 방식으로 강제해라(공감 3)
수집된 기사중 댓글을 최신순으로 노출한 기사는 순위에서 제외했다.
포털 다음의 댓글 정책 변경(타임톡 시행)에 따라 다음에 올라온 기사 댓글은 수집하지 않았다. 다음에서 반응수가 가장 많은 기사는 JTBC 9월 9일자 <"폰 보고 있었는데" 몰래 'PASS 앱' 인증까지…'KT 소액결제' 피해 확산>으로 163개로 집계됐다(화나요 152개).
※ 마이닝 솔루션 : BBD랩
※ 조사 기간 : 2025년 9월 8~9일 오전 11시
※ 수집 데이터 : 2080개(네이버, 다음, 네이트 기사와 댓글, 반응)
※ 분석 : 빅터뉴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