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쿠팡, 미국에서도 이렇게 운영했을까

'안전불감증'?'늦장 사과'?'언론탄압' 등 논란에 소비자 등돌려
2021-06-23 17:33:37

쿠팡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를 계기로 쿠팡에 대한 비판여론이 들끓고 있다. 소비자들은 쿠팡의 안전불감증과 사과의 진정성을 문제삼고 있다. ‘로켓배송’에 경도됐던 자신을 반성하며 ‘탈쿠팡’을 외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잦은 산업재해 사망사고, '언론탄압' 등 각종 논란도 재조명되고 있다. 쿠팡이 과연 미국에서도 이같이 운영을 했을까란 물음표가 제기된다.

이번 사건은 인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화재를 목격한 직원은 관리자가 보고를 묵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고 당시 스프링클러가 약 8분 동안 작동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쿠팡은 사고 이전 안전 점검에서 스프링클러, 방화셔터 불량 등 200여건의 결함을 지적받았다.

이는 그동안 쿠팡을 애용해왔던 민심의 이반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 직후 전해진 김범석 쿠팡 대주주의 의장직 사임 소식은 성난 민심에 불을 당겼다. 경영자의 처벌이 가능한 중대재해처벌법 처벌을 앞두고 빠져나간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다. 쿠팡은 화재 이전에 결정된 사임이라고 항변했지만 소비자들은 왜 하필 그 시점에 발표를 했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쿠팡의 사과는 화재 발생 이후 32시간만에 니왔다.

김 대주주는 소통에서 '낙제점'을 받고 있다. 그는 그동안 노동자 사망, 비정규직 대량 정리, 코로나 확산 등 일이 터질때마다 침묵했다.

여기에 ‘새우튀김 환불' 사건과 욱일기 제품 판매 등이 겹치면서 여론은 악화일로다. 판매자들도 아이템위너 시스템, 법정기일을 꽉 채운 대금 결제 등을 이유로 절래절래 고개를 흔들고 있다. 쿠팡에서 장사하기 너무 힘들다는 것이다. 참여연대 등은 쿠팡 등 배달앱 리뷰·별점 제도가 블랙컨슈머를 양산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쿠팡은 이를 지적하는 언론에 소송을 걸고 있다. 지난 4월 외신들은 '한국 쿠팡의 언론에 재갈물리기와 위험한 노동조건에 관한 공동성명'을 발표하면서 쿠팡을 규탄했다. 이에 앞서 기자협회 등 국내 언론단체들도 "쿠팡은 노동인권보도에 대해 봉쇄소송을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쿠팡이 미국기업이라는 사실을 인지해야한다고 지적한다. 기업문화가 다르다는 것이다. 실제 쿠팡은 미국 쿠팡의 100% 자회사다. 김 대주주는 미국 시민권자로 미국 이름은 Bom Kim이다. 이 때문에 김 대주주는 법적 책임이 큰 '동일인' 지정도 피해갔다. 한국에서 돈을 벌지만 법적 책임 소재는 피해간 셈이다. 하지만 미국에선 기업 불법행위에 대해 한국 보다 더 무거운 엄벌로 다스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도 주지의 사실이다.

김 대주주는 지난해 초 직원들에게 보낸 사내 이메일에서 ‘쿠팡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라는 얘기를 들을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쿠팡을 선택해야할 이유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쿠팡이 적자에 허덕이다가 코로나 사태를 맞아 이제 막 실적이 개선이 되는 상황에서 이번 소비자 이탈에 대한 대가는 클 것으로 보인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강제징용 피해자 이춘식옹 별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인 이춘식(104)옹이 1월27일 오전 8시50분 입원 치료중이던 광주 동구 세종 요양병원에서 별세했다. 이옹은 노환과 징용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