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공급정책에 인플레이션 우려 더욱 커지나

물가 고공비행속 '대규모 돈풀기' 부작용도 주시해야
2021-11-16 13:35:13
물가가 뛰는 상황에서 미국, 한국 등에서 경기부양을 위한 대규모 돈풀기를 추진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미국에서 경기부양을 위한 대규모 재원투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시장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주춤했던 경제회복을 위한 조치이지만 원자재, 물류비용 등 상승으로 물가가 들썩이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에 따라 더 많은 유동성이 시중이 풀리게 되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한국 역시 추가 재난지원금 등 유동성 확대공급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담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더욱 빨라지면서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고 이는 다시 경기회복에 암호가 되는 악순환이 나타날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1조2000억 달러(1415조 원·신규 예산 기준 5500억 달러)의 예산을 담은 법안에 서명했다. 해당 법안은 노후된 다리와 도로를 보수하는 등 사회 전반적인 인프라를 재정비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서명을 마친 뒤 "미국민에 대한 내 메시지는 미국이 다시 움직이고 있고, 여러분의 삶이 더 나은 쪽으로 변할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직 교육, 의료 등 '인적 인프라'로 불리는 별도의 사회복지성 예산안 1조7500억 달러의 처리가 남아있지만 총 2조달러(약 2363조4000억원)대의 '더 나은 재건법'(the Build Back Better Act)' 시행이 초읽기에 들어간 셈이다.

이번 자금 투입은 미국의 경제 회복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대규모 예산 투입 법안이 인플레이션을 가속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요동치는 물가 때문이다. 최근 미국 내 주택, 자동차, 휘발유, 식음료, 기타 생활용품 등의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2%로 나타나 1990년 12월(6.3%) 이후 거의 31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본격화한 것도 이런 상황 때문이다.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부양책과 관련 바이든 대통령이 30년만에 최고 인플레이션이라는 암초에 직면했다고 지난 11일 보도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 당일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고점 인식이 확산하면서 하락으로 마감했다. 

한국의 상황도 비슷하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지난달 수입물가는 13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9월 생산자물가도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입물가와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전가되는 경향이 짙다. 이에따라 전문가들은 올해 소비자물가가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크게 웃돌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행이 11월 추가 금리인상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여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전 국민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이 후보 측과 민주당은 전국민 재난지원금과 관련, 10조~15조원 정도의 추가 세수가 예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기부양책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신경써야 한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증시의 한 전문가는 “경기회복과 함께 물가상승이 더욱 고도화될 경우 금리인상 등 긴축 정책을 강화해 유동성을 회수할 수밖에 없고 이는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요인”이라며 “금융 투자를 하는 가계가 급증한 상황에서 이는 가계 소득에 타격을 주고 이는 다시 경제 회복에 악재가 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