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잇따라 정치권 인사를 영입하면서 '방패막이' 논란이 일고 있다. 끝없는 노동자 사망사고에 미얀마 쿠데타 군부의 자금줄이라는 의혹까지 겹친 탓이다. 최정우 회장이 취임 초기부터 입만 열면 강조했던 ‘기업시민’과도 거리가 멀다.
포스코는 지난달 홍보와 대관 업무를 보는 커뮤니케이션본부를 신설하고 국회 보좌진 출신인 박도은씨와 이상욱씨를 상무보로 영입했다. 박 상무보는 우상호 서울시장 예비후보 캠프 상황실장 등을 이 상무보는 홍문종 의원 보좌관 등을 지냈다. 커뮤니케이션 본부 수장도 국회 비서관 출신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대내외 소통 강화 포석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들이 보좌관 출신이라는 점에서 대관 및 대국회 업무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인사를 영입하며 전열을 가다듬고 있지만 ‘최정우 포스코’가 처한 현실은 심각하다.
포스코는 죽음의 제철소로 비판받고 있다. 최 회장이 지난 2월 국회에 소환돼 의원들의 집중 추궁을 받을 정도로 상황은 심각하다. 최 회장이 취임한 이후 사망자만 따져도 20여명에 달한다. 올해에도 사망 사고가 터졌다. 과거 '낙하산 회장' 시절이나 내부 출신인 최 회장 시절이나 별반 달라진 게 없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도 포스코 사외이사들은 보란 듯이 그를 연임시켰다는 점에서 내부 자정 노력에 대한 기대치도 높지 않다.
더욱이 가스전 등 미얀마 사업이 쿠데타 군부의 자금줄이 되고 있다는 비판도 거세다. 이같은 이유로 국회에서도 포스코의 사업 중단이나 배당금 지급유예 등 조처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가 임원들과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자사주를 매입했다는 혐의로 검찰에 고발돼 수사도 진행중이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최 회장이 역대 포스코 회장 중 유난히 ‘기업시민’, ESG경영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가 정치권 인사를 영입해 일종의 '방패막이'로 활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물음표가 제기되고 있다. 향후 상황에 따라 그가 사정당국 칼날에 놓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내년엔 처벌을 강화한 중대재해법도 시행된다.
최 회장은 포스코 흑역사를 끊고 개혁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받으며 출발했다. 하지만 그가 코너에 몰리면서 정치권 인사를 영입해 방패막이로 이용하려 한다는 의혹이 일면서 포스코 개혁에 대한 기대감이 무너지고 있다. 최 회장은 국회와 정치권 로비에 치중하기보다는 사망사고를 줄이고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지 않고 포스코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뼈를 깎는 개혁을 먼저 해야 한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