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호의 경제톡> 저금리 시대가 저문다?

美연준, 내년 기준금리 3회 인상할 듯
선제적 대응한 한은도 추가 인상 시사
2021-12-27 11:39:46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2배가량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내년부터 기준금리를 차츰 인상해 나가겠다는 신호를 보냈다. 이에 시장은 금리 인상 시기와 횟수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15일 개최된 미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경제 활성화에 따른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테이퍼링 속도를 현재의 2배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미 연준의 발표대로라면 자산매입 축소 규모는 기존 월 150억 달러에서 월 300억 달러로 늘어나고, 내년 3월이면 코로나 팬데믹으로 시행된 확대 재정 정책은 마무리된다. 아울러 미 연준은 미국의 현 경제 상황에 대해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는 반면 노동 시장 개선은 뚜렷하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위한 주변 여건이 차곡차곡 충족되고 있는 셈이다.

전통적으로 미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하는데 가장 우선시하는 요인은 인플레이션의 정도였다. 통화주의자들의 입김이 강한 미국의 통화 정책은 인플레이션에 대해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었다. 경기가 조금만 과열 양상을 보여도 통화당국은 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들곤 했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으로 미국의 통화 정책은 인플레이션보다 고용 개선으로 우선순위가 바뀌었다. 2020년 8월 잭슨홀 미팅 후 제롬 파웰 미 연준 의장이 발표한 ‘평균물가 목표제’가 대표적이다. 평균물가 목표제란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를 일시적으로 초과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치가 2%를 넘지 않으면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물가 억제보다는 확실한 경기 회복에 방점을 찍는 정책의 변화라 하겠다. 따라서 경기 회복의 신호탄이 되는 고용 개선 지표가 기준금리의 향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내년 3월 확장적 재정정책이 막을 내린다면 갈수록 심각해지는 인플레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 즉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은 불안한 고용 지표와 경기 회복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해 현재의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수요와 (글로벌)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좀처럼 잡히지 않는 물가 상승 압력을 더 이상 방치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제 시장은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고 그 시기와 횟수에 주목하고 있다. 먼저 기준금리 인상 횟수는 내년에 세 차례 인상할 것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다. 미 연준이 금리 경로의 전망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FOMC 위원 18명 중에서 10명이 내년에 3회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 세 차례, 2024년 두 차례 등 향후 3년간 8번의 금리 인상을 전망하고 있다. 이 경우 FOMC 위원이 전망하는 미국의 기준금리는 2022년 0.9%, 2023년 1.6%, 2024년 2.1%로 단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금리 인상의 시기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있다. 지난 15일 미 연준 정례회의 직후에는 테이퍼링 절차가 마무리되는 내년 3월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하지만 오미크론 확산으로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대두되면서 금리 인상 시기가 6월로 미루어질 수 있다는 신중론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은 당초 5.9%로 전망되었지만, 내년까지 오미크론 확산을 잡지 못할 경우 4%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오미크론의 확산 여부를 지켜본 후 금리 인상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미 연준이 내년에 금리를 세 차례 인상하게 되면 우리도 금리를 세 차례 이상 인상하게 될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가진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설명회 겸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게 되겠지만, 우리나라 통화정책은 “기본적으로 국내의 경제 금융 상황을 일차적으로 고려해서 운용하게 돼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 동결과 상관없이 선제적으로 두 차례에 걸쳐 금리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내년에도 국내 경제 상황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통화정책을 펼쳐나가야 할 것이다.

이원호 비즈빅데이터연구소장(경제학 박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코인과세 폐지하라"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이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과세 도입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당초 2022년 1월 도입 예정이었던 가상자산 과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