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0.25%p 올려…'물가불안 여전'

1.25%포인트까지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도 부담
2023-01-13 10:03:48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3년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 7연속 금리 인상에 나섰다. 1.25%포인트까지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에 물가 불안감이 여전하다는 판단에서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2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3.25%인 기준금리를 3.50%로 0.50%포인트 올렸다. 지난해 8월 26일 금리인상(0.25%포인트)에 나선지 7연속 금리인상이다. 

작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109.28)는 1년전 대비 5.0% 상승했다. 상승률이 같은 해 7월(6.3%)을 정점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5월 이후 8개월째 5%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대 후반(2022년 12월 3.8%)으로 높은 수준이다.

앞서 이창용 총재는 신년사에서 "국민 생활에 가장 중요한 물가가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올해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한미간 금리격차도 배경이 됐다. 지난해 12월 14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으로 한국(3.25%)과 미국(4.25∼4.50%)의 기준금리 차이는 1.25%포인트까지 벌어진 상태다. 2000년 10월 1.50%포인트 이후 두 나라 사이 가장 큰 금리 역전 폭이다.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날 한은의 '베이비 스텝'(0.25%포인트 인상)으로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1.00%포인트로 좁혀졌다.

향후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현재 시장에선 경기 침체 부담 때문에 추가 인상 없이 4분기나 내년 초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과, 여전히 한미 금리차가 1%포인트에 이르는 데다 연준의 긴축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큰 만큼 한은 역시 2월이나 4월에 3.75%까지 더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팽팽하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검찰의 자업자득"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최근 '검찰 개혁'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검찰 보완수사 폐지와 관련해 "보완수사는 검찰의 의무"라며 사실상 반대 입장

쿠팡, ‘하반기 주방 페어’ 개최

쿠팡이 가을 시즌을 맞아 주방을 새롭게 단장하려는 고객들을 위해 ‘하반기 주방 페어 SALE’을 오는 14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하반기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