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다보스 포럼으로 더 잘 알려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기업가, 경제학자, 정치인들이 모여 세계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를 논의하고 연구하는 자리로 유명하다. 최근 들어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를 다루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글로벌 영향력이 키워왔다. 특히 WEF가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경쟁력 보고서, 글로벌 성별격
5년 전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차세대 성장산업의 화두로 4차 산업혁명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기업들은 앞 다투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사업 진출을 발표했다. 중앙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들도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대부분의 학술 세미나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가 들어가고, 관련 논문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장이 오는 2월 끝나는 임기를 앞두고 사의를 표명했다. 2011년 전경련 회장직에 오른 이래 5차례 연임하며 역대 최장수 회장 기록을 남긴 허 회장은 지난 9일 비공개로 열린 회장단 회의에서 현 체제에서는 내부 쇄신이 어렵다는 점을 들며 사의를 표명했다. 아울러 이 자리에서 허 회장은 후임 회장의 추천과 ‘전경련 혁신위원회’
미·중 갈등에서 시작된 글로벌 반도체 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미·중 갈등의 원인은 좁게 보면 심각하게 쌓여가는 대중(對中)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한 미국의 대응이고, 넓게 본다면 향후 미국 패권을 위협할 가능성이 높은 중국을 사전에 견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다. 미·중 갈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2013년 강한 중국을 표방하는 시진핑 체제
1980년대 말 일본은 반도체 최강국이었다. 1988년 세계 반도체 시장은 일본과 미국이 양분하고 있었는데, 국가별·지역별 매출 비중을 보면 일본이 50.3%로 압도적인 1위다. 그 다음 미국이 36.8%로 2위인데 일본과 차이가 컸다. 한국과 같은 아시아 지역은 3.3%에 불과했다. 당시 세계 10대 반도체 기업의 판도도 일본 기업이 6개(NEC, 도시바, 히타치, 후지츠, 미쓰비시, 마쓰시다), 미
올해 우리 경제는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연 초부터 시작된 미국 금리 인상의 충격과 함께 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의 도시 봉쇄 등 글로벌 3대 악재가 한꺼번에 찾아왔기 때문이다. 먼저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초래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고, 중국의 도시 봉쇄의 영향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는
얼마 전 중국에서 생산된 전기버스가 국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는 문제가 이슈로 떠오른 적이 있다. 2019년 26%에 불과했던 중국산 전기버스의 시장 점유율이 2022년 1분기에는 46.6%까지 치솟았다는 것이다. 더욱이 국내에서 생산한 전기버스 마저 주요 부품을 중국에서 들여와 조립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향후 친환경 전기 버스 시장을 중국 기업에 넘겨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컸
10월 무역수지가 67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면서 7개월 연속 무역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7개월 연속 적자는 1997년 IMF 경제위기 당시 이후 20여년 만에 처음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2년 10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10월 수출은 전년 대비 5.7% 감소한 524.8억 달러인 반면 수입은 9.9% 증가한 591.8억 달러를 기록했다. 적자의 원인에 대해 산업부는 글로벌 경기 둔화 및 기저
중국 한나라 때 사마천(司馬遷)이 저술한 역사서 사기(史記)에는 군주의 통치 행태, 즉 정치의 등급을 26자로 간략하게 나누어 기술한 부분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故善者因之(고선자인지·가장 좋은 것은 순리를 따르는 자연스러운 것을 따르는 순리의 정치이고), 其次利道之(기차리도지·그 다음은 백성을 이익으로 이끄는 것이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자금시장이 경색되는 등 우리나라 금융시장 전체가 술렁이고 있다. 발단은 레고랜드 개발을 위해 강원중도개발공사(GJC)가 발행한 205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해 지급 보증한 강원도가 말을 바꾸면서부터다. ABCP 만기 하루 전인 지난달 28일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GJC를 회생신청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혀 사실상 보증을 거절한
일본 엔화 약세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지난 20일 엔/달러 환율은 도쿄 외환시장에서 한때 달러당 150엔을 넘어섰다. 엔/달러 환율이 심리적 마지노선이라 여기는 150엔을 넘어선 것은 1990년 8월 이후 32년 만이다. 엔저의 1차적인 원인은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미일 금리 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지적된다. 하지만 그동안 글로벌 안전 자산으로 분류되었던 엔
4차 산업혁명이라 불리는 디지털 융·복합으로 인해 많은 산업이 커다란 변화를 겪고 있다. 자동차 산업도 최근 몇 년 사이에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사실 자동차 산업은 100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통해 축적된 기술 장벽이 높기 때문에 변화의 움직임이 더디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이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자동차 산업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달러화 강세 행진이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올해 들어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약 20% 정도 절하됐다, 1월 초 1190원대에 머물렀던 원/달러 환율은 9월 들어 1400원을 돌파했다. 지난 8월 24일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던 1340원이 무너진 후 불과 한 달 만에 1400원 마저 내주는 등 절하 폭과 속도도 무척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연말까지 1500원에
지난 5월 말 스위스 휴양도시 다보스에서 세계경제포럼(WEF 2022) 연차 총회가 개최되었다. 다보스포럼으로 더 알려진 이번 총회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2년 만에 대면으로 진행되었는데, 올해 관심을 끈 주제는 세계화 시대가 저물어가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동안 다보스포럼의 성격은 글로벌 기업의 CEO들과 투자자들이 주를 이룬 만큼 ‘세계화의 가속화’와 ‘신자유주
지난 정부 초기 정부, 학계, 경제계의 최대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었다. 정부가 이끌어 나가고 학계와 경제계가 호응하는 방식으로 이 주제는 우리 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다. 4차 산업혁명의 용어 사용이나 실체에 대한 일부 지적이 있었지만, 디지털 혁명을 기반으로 성장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의 융합이 인류 사회에 가져올 변화가 이전
최근 환율의 폭등세(원화 가치의 하락)가 심상치 않다. 원/달러 환율은 8월 24일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지던 1340원이 무너진 후 불과 열흘 만에 1380원을 돌파했다. 지난달 16일부터 23일까지 6거래일 간 43.1원이나 뛴데 이어 9월 초에도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뛰었다. 환율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변동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이어지면서 시장에서는 금융위기가 다시 오는 것이 아닌가
잭슨홀 미팅은 매년 8월 미국 캔자스시티 연방은행이 와이오밍주 잭슨홀이라는 휴양지에 개최하는 경제정책 심포지엄이다. 1978년 농업학술 대회로 시작했으나 처음 몇 해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다 1982년 당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응해 유례없는 고금리 정책을 추진한 폴 볼커(Paul Volcker)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과 이를 반대하는 학자들과 토론을 기획하면서부터 점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행사가 지난 24일 서울과 베이징에서 동시에 개최되었다. 최근 미중 갈등과 코로나 팬데믹의 여파로 행사 규모가 다소 축소되었지만 양국 정상은 지속적인 한중관계 강화의 메시지를 남겼다. 윤석열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직접 만나 협의할 것을 기대했다. 시 주석도 윤 대통령과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3만원 치킨 시대'에 '6000원대 치킨'이 등장하면서 치킨 가게 사장님들이 '폭리의 주범'으로 몰렸다. “도저히 나올 수 없는 가격”이라는 자영업자들의 애처로운 항변은 “지금 프랜차이즈 가격이 얼만지 아느냐"는 소비자들의 반박에 가로막혔다. 치킨값과 동시에 본사가 받는 원재료비까지 천정부지로 치솟아 별반 다를 게 없는 상황에서 대형마트의 공세에 폭리를
바이든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인플레이션 감축법(The Inflation Reduction Act, IRA)’이 미 의회를 통과했다. 물가를 잡겠다는 의미로 인플레이션 감축법이라 이름이 붙어있지만, 이 법안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보인다. 친환경 에너지 기업을 지원하고 전기차를 구입할 때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확대하는 것이 인플레 감축법의 핵심이다.